본문 바로가기

nosql

window redis 다운로드 github

버전업 되고 있는 사이트 : https://github.com/MSOpenTech/redis  vs가 필요함...ㅠㅠ


아래는 대용량처리를 위한 Redis를 windows에 설치할때의 절차를 간단히 정리한 문서이다.

1. Redis 윈도우즈용 소스 다운로드
– https://github.com/MSOpenTech/redis (현재 2.8버전)

2. Visual Studio에서 컴파일
– \redis-2.8\msvs\RedisServer.sln 을 VS로 연다.
– 플랫폼을 x64로 맟추고 컴파일
– x64의 Release폴더에서 아래 실행파일을 특정폴더에 복사한다.(예:c:\Service\Redis)
redis-benchmark.exe
redis-check-aof.exe
redis-check-dump.exe
redis-cli.exe
redis-server.exe

3. 환경설정파일 복사
– \redis-2.8\msvs\setups\documentation의 redis.windows.conf을
위에서 복사한 폴더에 redis.conf파일로 복사
– redis.conf파일을 열어 몇가지 수정사항을 본인의 환경에 맞게 고친다.

4. 서비스 모드로 실행
– 서비스 등록

– 서비스 시작

5. 클라이언트 접속 테스트

6. 서비스 중지 및 제거
– 서지스 중지

– 서비스 제거







버전업이 안되는것 같음 : https://github.com/dmajkic/redis/downloads

윈도우에서 Redis 서비스로 설치하기

  1. DownLoad URL
  2. 디렉토리 생성
    • 소스위치
    • 로그위치
    • DataBase 위치
    • 설정파일 위치
  3. 설정파일 생성
    • 설정파일 생성(소스파일 폴더에 redis.conf 파일이 존재함)
    • BIND 수정(접속할 때 사용할 IP)
    • LOGFILE 위치 설정
    • DIR 위치 설정(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4. 윈도우 서비스 실행 등록
    • 실행파일 다운로드
    • 서비스 등록
    • 서비스 삭제

 

CLIENT 접속

 

Cluster

  1. redis 설정파일 생성
    • redis-master.conf
    • redis-slave.conf
  2. redis-master.conf 편집
    • PORT 변경
    • BIND 변경
    • LOGFILE 이름 변경
    • DIR 변경(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 DBFILENAME 이름 변경
    • SECURITY 섹션에서 requirepass 주석을 풀어주고 비밀번호를 설정
  3. redis-slave.conf 편집
    • PORT 변경
    • BIND 변경
    • LOGFILE 이름 변경
    • DIR 변경(DataBase가 생성되는 위치)
    • DBFILENAME 이름 변경
    • SECURITY 섹션에서 requirepass 주석을 풀어주고 비밀번호를 설정
    • REPLICATION 섹션에서 slaveof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의 접속정보를 설정
    • REPLICATION 섹션에서 masterauth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 REPLICATION 섹션에서 repl-ping-slave-period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와 싱크주기를 설정한다.
    • REPLICATION 섹션에서 repl-timeout 주석을 풀어주고 마스터 연결시의 timeout을 설정한다.

      repl-ping-slave-period 보다는 커야된다 

  4. 윈도우 서비스 실행 등록
    • 마스터 서비스 등록
    • 마스터 서비스 삭제
    • 슬레이브 서비스 등록
    • 슬레이브 서비스 삭제


'no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기술 하둡, HDFS, R, HIVE  (0) 2016.09.20
MongoDB  (0) 2016.04.07
apache Hbase  (0) 2016.04.07
nosql 범주  (0) 2016.04.07
nosql 등장배경  (0) 201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