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ystem

테스트 관련 용어들. Response Time사용자의 요청(Request)을 처리하는 시간을 응답시간이라고 하며, 웹 서비스를 접속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해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서버로 부터 응답을 모두 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응답시간이라 함. 일반적으로 웹 환경에서의 응답시간은 * Response Time = Network Time + Server Time(Web Server Time + WAS Time + DB Time) + Client Time Think Time사용자 요청간의 대기시간 사용자가 서버로 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고 해당 컨텐츠를 확인 하는 시간이며, 이 시간은 다음 컨텐츠를 요청하기 전까지의 시간과 같음. * Request Interval : Response Time + Think Time .. 더보기
유니코드 유니코드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가 유니코드(unicode)다. 유니코드는 사용중인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 값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코드다. 언어와 상관없이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다. 유니코드 표준은 애플(Apple), HP, IBM, 썬(Sun), MS, 오라클(Oracle)과 같은 업계에서 채택되었으며, XML, 자바, ECMAScript, LDAP, CORBA 등의 표준에서 사용되고 있다. 영문대소문자와 숫자 코드는 유니코드 사이트(http://www.unicode.org/charts/PDF/U0000.pdf)에서 제공하는데, [그림 2-13]은 그 일부다. 각 문자 아래에 있는 값이 코.. 더보기
L2,L3,L4,L7스위치 구별 가끔 이것에 대해서 어떻게 구분하는지 물어보는 사람이 종종 있습니다. 관점에따라서 조금 다를수 있습니다만.. 저는 이렇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똥을 컨트롤(차에 집어넣었다가 뺐다가하는 방향 컨트롤..-_-;;)차를 똥차라고 합니다. ㅎㅎ L2 ~ L7 스위치는 각각 해당 레이어에서 사용하는 정보(주소)를 컨트롤 하는 장비입니다. 첫째, L2 스위치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합니다. L2 스위치의 역할은 MAC주소를 보고 이넘을 어떤 포트로 보낼것인지 컨트롤(스위칭)하는 장비를 말합니다. 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합니다. 둘째, L3 스위치 (라우팅) L3 주소는 IP를 말하죠. 즉, 이쪽 IP는 어떤쪽으로 가고 저쪽 IP는 어디로 보내고.. 이것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