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출자
계열사 간에 순환적으로 출자하여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방법을 말한다. 직접적인 법적 규제가 없다는 편리한 특성 덕분에 대한민국의 대기업들이 자주 이용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우선 A사가 100억 원의 자본금을 갖고 B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50억 원을 출자한다. B사는 C사에 30억 원을 출자하고 C사가 다시 A사에 10억 원을 출자하면 A사의 서류상 자본금은 늘어나 확실한 지배주주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A사는 100억 원으로 B, C사의 대주주가 될 수 있고 자본금도 110억 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 자본금은 장부상에만 나타난 것일 뿐이다. 즉, 실제 자본금은 100억 원이며 나머지 10억 원은 거품이다. 또 이런 식으로 몇 번 순환출자를 하면 계열사의 장부상 자본금은 큰 폭으로 늘지만 실제 자본금은 얼마 되지 않는다. 대기업의 총수들은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적은 지분으로도 그룹 전체를 장악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B사가 부도나면 A사의 자산 중 50억 원이 사라지게 되는 것처럼, 한 계열사가 부실해지면 출자한 다른 계열사까지 부실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네이버지식인 참조
출자란??
사업을 위해 자금을 내놓는것을 출자라고 합니다.
보통 은행에서 어떤 기업에게 자금을 빌려주었는데... 기업이 경영 여건이 나쁘다 보니 그 은행 융자금을 갚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 은행은 무리하게 융자금을 회수하려고 하면 그 기업은 부도가 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은행은 그 융자금을 회수하기 보다는 오히려 투자로 전환을 하는거지요. 즉, 융자금을 현금으로 회수하는게 아니라 투자금으로 돌려서 그 기업의 지분을 확보하는것입니다. 보통 그런 경우를 출자전환이라고 말합니다.
즉, 출자란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투자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대체로 기업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주주나 금융기관등이 기업의 회생을 목적으로 자신의 지분을 희생해서 기업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내어놓은 경우도 있고 받을 채권을 투자금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어요.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관리팀에 요구되는 전문지식영역 (0) | 2015.09.23 |
---|---|
지구와 비슷한 행성들! (0) | 2015.07.24 |
시작프로그램 폴더 위치!! (0) | 2015.07.18 |
미국 51구역... (0) | 2015.07.15 |
세계 10대 출입금지구역 (0) | 2015.07.15 |